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대중교통+따릉이 무제한 정기권으로, 청년 할인까지 적용해 한 달 교통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가격, 이용범위, 발급방법, K패스와의 차이점, 내 패턴에 맞는 카드 선택 기준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 기후동행카드 핵심 요약
✔ 제공 주체: 서울시
✔ 이용 범위: 서울 지하철·시내버스·마을버스 + 따릉이(선택)
✔ 요금: 30일권 62,000원~65,000원 (청년 할인 시 55,000원~58,000원)
✔ 발급 방법: 모바일 티머니 앱 또는 실물카드 구매 후 충전
✔ K패스와 차이: 무제한 선불형(서울 중심) vs 전국 환급형(청년 한정)
✔ 이용 패턴 기준: 월 40~50회 이상 이용 시 기후동행카드 유리
✔ 제공 주체: 서울시
✔ 이용 범위: 서울 지하철·시내버스·마을버스 + 따릉이(선택)
✔ 요금: 30일권 62,000원~65,000원 (청년 할인 시 55,000원~58,000원)
✔ 발급 방법: 모바일 티머니 앱 또는 실물카드 구매 후 충전
✔ K패스와 차이: 무제한 선불형(서울 중심) vs 전국 환급형(청년 한정)
✔ 이용 패턴 기준: 월 40~50회 이상 이용 시 기후동행카드 유리
기후동행카드란?

이 카드는 서울시가 2024년부터 시행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일정 금액을 결제하면 30일 동안 지정된 대중교통과 공유자전거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 시민뿐 아니라, 서울 중심으로 통근·통학하는 수도권 거주자에게도 유용합니다.
더 자세한 발급 방법과 사용 범위는 티머니 공식 안내 페이지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 범위 (상세 안내)
지하철
- 서울 지하철 1~9호선 전 구간
- 수도권 연장 포함 구간:
– 진접선 (1호선 연장)
– 별내선 (8호선 연장)
– 포골드라인
– 우이신설선
– 신림선 - 제외: 서울시 면허 외 구간(경의중앙선 전 구간, 수인분당선 외곽 등)
버스
-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마을버스 전 구간
- 제외: 광역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따릉이
- 따릉이 포함형 선택 시 2시간 이용권 무제한
- 티머니GO 앱 등록 필요
요금 및 청년 할인
구분 | 따릉이 포함 | 따릉이 제외 |
---|---|---|
일반 | 65,000원 | 62,000원 |
청년(만 19~39세) | 58,000원 | 55,000원 |
※ 단기권 요금(따릉이 미포함) – 1일권 5,000원 / 2일권 8,000원 / 3일권 10,000원 / 5일권 15,000원
- 충전일로부터 사용기간 시작: 예) 7.1(월) 1일권 충 전시 7.1 막차까지 사용가능함 / 사전충전 불가능
발급 방법
1. 모바일 카드(Android)

- 모바일 티머니’ 앱 설치 → 회원가입 → 기후동행카드 선택 → 결제
안드로이드 전용으로, IOS(아이폰)에서는 발급 불가
2. 실물 카드(iOS 포함)
- 서울교통공사 역사 고객안전실 또는 편의점 구매
- ‘티머니 카드&페이’ 등록 후 무인 충전기에서 충전
(아이폰 사용자는 반드시 실물카드를 이용)
자세한 신청 절차와 발급처는 서울시 공식 안내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아이폰 사용자 주의
아이폰(iOS)에서도 최근 애플페이를 통해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은 가능하지만,
기후동행카드는 아직 모바일 발급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폰 이용자는 반드시 실물카드를 발급해 사용해야 합니다.
아이폰(iOS)에서도 최근 애플페이를 통해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은 가능하지만,
기후동행카드는 아직 모바일 발급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폰 이용자는 반드시 실물카드를 발급해 사용해야 합니다.
K패스와 차이점
이제 가장 중요한 비교 시간입니다. 두 카드의 핵심적인 차이점을 한눈에 보기 쉽게 표로 정리해봤어요. 나의 교통 패턴을 고려해서 어떤 카드가 더 유리한지 확인해보세요.
구분 | 기후동행카드 | K패스 |
---|---|---|
운영 주체 | 서울시 | 국토교통부 |
대상 | 제한 없음(청년 할인별도) | 만 19~34세 |
혜택 방식 | 무제한 이용 선불 정기권 | 한 달 사용 금액 일부 환급 |
이용 범위 | 서울·수도권 일부 | 전국 대중교통 + KTX 일부 |
결제 방식 | 선불 | 후불 환급 |
이용횟수 | 무제한 | 월 최소15회 이상, 최대 60회까 |
내 패턴에 맞는 카드 선택 가이드
TBS 자료에 따르면,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따라 유리한 카드가 달라집니다.
구분 | 월 이용 횟수 기준 | 유리한 카드 |
---|---|---|
성인 | 51회 이하 | K패스 |
성인 | 52회 이상 | 기후동행카드 |
청년 | 52회 이하 | K패스 |
청년 | 53회 이상 | 기후동행카드 |
💡 팁
- 하루 왕복 출퇴근(월 20일 기준 40회) + 주말 외출 2~3회 → K패스가 유리
- 출퇴근 외에도 점심 외출·야근 이동 등 추가 이용이 많으면 기후동행카드가 유리
지역별 절감 효과
출발 지역 | 주요 교통수단 | 서울 구간 포함 여부 | 월 예상 교통비(기존) | 기후동행카드 사용 시 | 절감 효과 |
---|---|---|---|---|---|
서울 시내 | 시내버스+지하철 | 100% 포함 | 약 80,000~100,000원 | 55,000~65,000원 | 15,000~45,000원 |
경기 인접 | 지하철+버스 | 70~90% 포함 | 약 90,000~110,000원 | 55,000~65,000원+추가요금 | 10,000~35,000원 |
인천 일부 | 경인선·김포골드라인 | 50~70% 포함 | 100,000~120,000원 | 55,000~65,000원+추가요금 | 5,000~25,000원 |
인천/경기 외곽 | 광역버스 | 포함 적음 | 120,000원 이상 | 광역버스 불포함 | 거의 없음 |
마무리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생활권에서 대중교통 이용 빈도가 높은 사람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하지만 서울 거주자라도 월 이용 횟수가 적으면 K패스가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출발 지역·이용 횟수·부가 혜택을 모두 비교해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 청년 교통비 할인 K패스 vs KTX 힘내라 청춘 비교
👉 청년 교통비 할인 K패스 vs KTX 힘내라 청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