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업데이트 끄기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최신 업데이트에서 카카오톡이 인스타그램 피드형 UI로 바뀌며 사용자 불편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 업데이트 해제 방법과 함께, 업데이트 전후 차이점, 해제 시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 2025년 9월 카카오톡 대규모 업데이트 진행됨
• 인스타그램형 피드 UI 적용 → 사용자 불편 증가
• 자동 업데이트 해제 방법 (안드로이드 / iOS)
• 업데이트 전후 UI·기능·속도 비교표 수록
•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 유지 vs 해제 선택 가능
카카오톡 업데이트, 왜 불편할까?

카카오톡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친구 목록 상단 UI가 사진 피드처럼 바뀌는 등 전체적으로 인스타그램과 비슷한 구조가 적용되었습니다.
기존에는 단순한 채팅 중심 앱이었던 카카오톡이 이번 업데이트로 탐색 피드 중심의 SNS형 구조로 개편되면서, 불필요한 시각 정보가 많아져 많이 불편해졌습니다.
카카오톡 업데이트 끄는 방법 (자동 업데이트 해제)
안드로이드 (Google Play 스토어 기준)

- Play 스토어 실행
- 검색창에 ‘카카오톡’ 입력
- 카카오톡 앱 클릭 → 우측 상단 ‘점 3개’ 메뉴
- ‘자동 업데이트’ 체크 해제
아이폰 (App Store 기준)

- 설정 → 앱 실행
- ‘App Store’ 항목 선택
- 자동 다운로드 → ‘앱 업데이트’ 항목 비활성화
💡 참고
아이폰에서는 특정 앱만 자동 업데이트를 끄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즉, 카카오톡만 따로 끄는 건 불가능하며, 앱 전체 자동 업데이트를 끄는 방식으로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후부터는 App Store에서 직접 수동으로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카오 공식 고객센터에서도 업데이트 및 설정 변경 관련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업데이트 전과 후 비교표

구분 | 업데이트 전 | 업데이트 후 |
---|---|---|
UI 구조 | 채팅 중심, 단순한 인터페이스 | 피드 중심, SNS 구조 도입 |
탭 구성 | 채팅, 친구, 설정 중심 | 피드, 탐색 탭 강화 |
속도 | 가볍고 빠름 | 무거워짐, 로딩 시간 증가 |
용량 | 상대적으로 작음 | 약 400MB 이상으로 증가 |
사용자 반응 | 익숙하고 편리함 | 혼란, 불편함 호소 다수 |
업데이트 유지 vs 끄기, 뭐가 더 좋을까?
항목 | 업데이트 유지 | 업데이트 끄기 |
---|---|---|
장점 | 보안 패치, 최신 기능, 안정성 향상 | 기존 UI 유지, 속도 빠름, 배터리 절약 |
단점 | 무거운 UI, 생소한 변화, 데이터 소모 증가 | 보안 취약 가능, 일부 기능 제한 |
👉 어떤 기기를 쓰는지, 사용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구형폰 사용자: 업데이트 해제 추천
- 부모님/어르신 기기: 기존 UI 유지가 더 편함
- 최신 기능 활용이 필요한 사용자: 업데이트 유지 권장
릴스처럼 보이는 프로필 화면, 이렇게 숨길 수 있어요

카카오톡 업데이트 이후, 프로필 화면이 릴스처럼 피드 중심으로 바뀌면서 불편하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특히 사진, 음악, 디데이 등의 활동이 친구에게 자동으로 노출되는 점이 거슬린다면 아래 설정으로 비공개 전환이 가능합니다.
- 카카오톡 프로필 화면에서 상단 ‘점 3개’ 메뉴 클릭
- ‘설정’ 클릭
- 아래로 내려가 ‘프로필 업데이트를 나만 보기’ 항목 찾기
- 토글을 활성화(노란색) 하면 이후 업데이트 항목이 본인에게만 보입니다
프로필 피드가 릴스처럼 보여 불편하다면 ‘나만 보기’ 설정을 꼭 해보세요!
마무리
카카오톡은 국내 대표 메신저이지만, 최근 변화는 채팅보다는 콘텐츠 중심으로 기울면서 사용자 불편이 커졌습니다. 업데이트는 선택이 아닌 기본값이 되다 보니, 필요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 해제를 고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카카오톡을 세팅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