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기본 브라우저를 변경하면, 웹 링크를 열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브라우저를 내가 원하는 것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크롬, 웨일, 엣지 등 다양한 브라우저 중 어떤 걸 설정하느냐에 따라 웹 환경이 달라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10과 11의 기본 브라우저 설정 방법과 함께, 크롬·엣지·웨일의 장단점 비교, 그리고 각 브라우저 내부에서 직접 설정하는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윈도우 10: 설정 > 앱 > 기본 앱 > 웹 브라우저
• 윈도우 11: 설정 > 앱 > 기본 앱 > 브라우저 선택 > 기본 앱으로 설정
• 브라우저별 장단점: 크롬(호환성), 엣지(속도), 웨일(네이버 최적화)
• 크롬·웨일·엣지 내부에서도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 가능
윈도우 10에서 변경하는 방법
- 시작 버튼 클릭 → 설정(⚙)
- 앱 > 기본 앱으로 이동
- “웹 브라우저” 항목에서 현재 설정된 브라우저 클릭
- 설치된 브라우저 목록 중 원하는 브라우저 선택 (예: 크롬, 웨일 등)
윈도우 11에서 변경하는 방법

1. 설정 > 앱 > 기본 앱
2. 원하는 브라우저(크롬, 웨일 등) 클릭

3. 상단의 “기본 앱으로 설정” 버튼 클릭
4. (버튼이 없는 경우 또는 수동 설정시) http, https, html 등 주요 확장자를 각각 클릭하여 원하는 브라우저로 변경
📌 윈도우 11에서는 기본 앱으로 설정해도 .pdf
나 .shtml
등 일부 확장자는 수동으로 변경해줘야 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별 장단점 비교
브라우저별 장단점을 파악한 뒤 자신에게 맞는 브라우저를 선택하고, 위에서 안내한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 설정 방법으로 적용해 보세요.
브라우저 | 장점 | 단점 |
---|---|---|
Microsoft Edge | – 윈도우 기본 탑재, 설치 필요 없음 – 속도 빠름, 배터리 효율 우수 – MS 서비스(OneDrive, 오피스 등) 연동 강력 | – 구글 서비스 최적화 부족 – 사용자 맞춤 기능은 다소 적음 |
Google Chrome | – 웹 호환성 최고 – 구글 계정 연동 편리 (북마크, 비밀번호 등) – 확장 프로그램 종류 풍부 | – 메모리 사용량 많음 – 배터리 소모 크고 발열 가능성 있음 |
Naver Whale | – 크롬 기반 확장기능 100% 호환 – 네이버 서비스 최적화(사전, 번역, 검색 등) – 사이드바, 듀얼탭, 캡처 등 특화 기능 다수 | – 해외 서비스 연동은 약한 편 – UI 구조에 적응 필요 (초보자에겐 생소할 수 있음) |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에서 각각 설정하는 방법
윈도우 설정 외에도, 각 브라우저 내부에서도 직접 기본 브라우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 (Chrome)

- 크롬 실행
- 우측 상단 점 3개(⋮) 클릭 → 설정
- 기본 브라우저 메뉴 클릭
-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 버튼 클릭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윈도우 설정에서 다른 브라우저가 지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웨일 (Whale)

- 웨일 실행
- 우측 상단 ☰ 메뉴 → 설정
- 좌측 메뉴에서 기본 브라우저 선택
-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 버튼 클릭
크롬과 구조가 거의 동일하며, 네이버 서비스 최적화 기능 포함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Edge)

- 엣지 실행
- 우측 상단 점 3개(⋯) 클릭 → 설정
- 좌측에서 기본 브라우저 선택
-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 버튼 클릭
윈도우 기본값이라 다시 엣지로 자동 변경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
내게 맞는 브라우저를 설정하세요
기본 브라우저는 단순히 웹사이트 여는 도구를 넘어서, 전체 PC 사용 경험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자주 쓰는 서비스나 업무 스타일에 따라 크롬·웨일·엣지 중 가장 맞는 브라우저를 선택하고,윈도우 기본 브라우저 설정 방법에 따라 적용해 보세요.
특히 크롬 사용자라면 확장 기능과 구글 계정 연동, 웨일 사용자라면 네이버 캡처·번역 등의 편의 기능을 적극 활용해보는 걸 추천합니다.